울산 도심융합특구 개발사업 본격화!
🏙️ 울산 도심융합특구 개발사업 본격화!
KTX 역세권과 다운지구, 청년·기업·문화가 어우러지는 융합도시로 변신한다
✅ 울산 도심, 왜 ‘융합특구’로 주목받는가?
울산은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산업도시입니다.
하지만 도시 내부의 중심지역은 상대적으로 낙후되어 있었고, 청년 인구 유출과 지역 활력 저하가 큰 과제로 지적돼 왔습니다.
이런 흐름 속에서 국토교통부는 2023년 11월, 울산 중심부를 **‘도심융합특구’**로 지정했습니다.
그리고 2025년 6월 16일, 울산도시공사가 이 개발사업의 공식 시행자로 지정되며 사업이 본격 추진됩니다.
🧭 도심융합특구란 무엇인가?
도심융합특구는 단순한 도시개발 사업이 아닙니다.
산업, 주거, 문화, 교통, 교육을 하나의 복합공간으로 융합하여,
청년과 기업이 머무르고 싶고, 활력이 넘치는 공간으로 탈바꿈시키는 정부의 전략적 도시재생 사업입니다.
📍 울산 도심융합특구는 어디?
울산 도심융합특구는 크게 두 지구로 나뉘어 개발됩니다.
➊ KTX 역세권융합지구 (약 162만㎡)
울산역(KTX) 주변의 광역 교통 요충지에 조성되는 지구로,
첨단산업과 청년 맞춤형 주거, 국제기능을 갖춘 글로벌 지구로 개발됩니다.
🔹 핵심 콘텐츠
- 이차전지 전략산업 클러스터
→ 전기차·에너지 산업의 중심 기술 집적지 - POST-BI(창업 후 보육 센터)
→ 청년 창업자들이 사업을 지속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 - 농업기술 R&D 부지
→ 미래 농업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기관 유치 - 청년 특화 주거단지
→ 일자리와 연계된 공공임대 및 셰어형 주거지 조성 - 국제학교 설립
→ 외국 기업·기술인력 장기정착 유도
🔹 부가시설
- BIO복합타운, 기업허브, 환승센터, 커뮤니티센터 등
➋ 다운혁신융합지구 (약 30만㎡)
울산 도심 중심부에 위치한 연구·기술 중심의 혁신지구입니다.
산업기술과 실증기반이 어우러지는 연구거점으로 개발됩니다.
🔹 핵심 콘텐츠
- 실증연구센터, R&D 연구단지
→ 국책연구기관 유치 및 기업 협력 촉진 - 기업종합지원센터
→ 창업공간 제공 + 기술 및 인허가 지원 원스톱 시스템 - 기후테크 창업기업 육성
→ 친환경 산업 중심으로 청년창업 유도 - 청년 인재 육성 프로그램
→ 지역 대학, 연구소와 연계한 실무형 인재 양성
🛠️ 울산도시공사, 이제 본격적으로 사업 추진
울산도시공사는 이번 지정으로 개발계획 수립, 행정절차 이행, 공사 착수 등 전반적인 사업을 주도하게 됩니다.
2029년까지 부지 조성을 완료하는 것이 1차 목표이며,
이후 연계 개발 사업과 민간투자 유치가 본격화될 예정입니다.
🎯 기대 효과는?
구분 | 기대 효과 |
산업 | 이차전지·기후테크 등 첨단산업 클러스터 형성 |
일자리 | 청년창업 지원, 지역인재 고용 확대 |
주거 | 일자리 연계형 특화 주거 공급 |
도시재생 | 도심 내 유휴지의 가치 재창출 |
글로벌화 | 외국기업·기술인력 유치 기반 확보 |
🗣️ 관계자 코멘트 정리
- 국토부 김지연 국토정책관
“도심융합특구가 속도감 있게 추진될 수 있도록 필요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.” - 울산시 이재곤 도시국장
“부처 간 지원 프로그램을 특구 내 유치해 지역 활성화에 앞장서겠다.” - 울산도시공사 고호근 본부장
“실시계획을 조속히 수립하여 2029년까지 부지조성을 완료하겠다.”
✨ 한 줄 요약
“울산 도심이 청년과 기업이 함께 살아 숨 쉬는 융합 혁신도시로 거듭납니다.”
내용 출처 : 국토교통부
도심융합특구 개발사업 실시계획 수립 후 본격적인 사업 시행 예정
www.molit.go.kr