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⚖️ 강제경매 vs 임의경매
개념부터 예시까지 완전 정복!
✅ 먼저, 부동산 경매란?
채무자가 돈을 갚지 못했을 때, 채권자가 법원을 통해 그 사람의 부동산을 팔아 빚을 회수하는 절차입니다.
이 경매에는 두 가지가 있어요:
- 강제경매
- 임의경매
이 둘의 출발점과 진행 방식이 완전히 다릅니다!
✅ 강제경매란?
담보 없이 돈을 빌려준 채권자가,
채무자가 돈을 갚지 않자 법원의 판결을 통해 강제로 부동산을 경매로 넘기는 방식
🔹 대표 특징
- 담보 없이 돈을 빌려준 경우
- 반드시 소송 → 판결 → 집행권원 필요
- 일반 채권자도 신청 가능
📌 강제경매 예시
홍길동 씨가 친구에게 5,000만 원을 빌려줬습니다.
→ 하지만 기한이 지나도 갚지 않자 소송을 걸어 승소 판결을 받았습니다.
→ 법원에 강제경매를 신청해 김 씨 명의의 아파트를 경매로 넘김
✅ 담보 없이 돈을 빌려줬기 때문에 강제경매!
✅ 임의경매란?
**담보(근저당, 저당 등)**를 설정해 돈을 빌려줬을 경우,
채무자가 돈을 갚지 않으면 소송 없이 바로 경매를 신청할 수 있는 방식
🔹 대표 특징
- 은행, 금융기관이 주로 사용
- 부동산에 담보권이 설정돼 있음
- 소송 없이 바로 경매 가능 (집행권원 불필요)
- 전체 경매의 70-80% 차지
📌 임의경매 예시
김OO 씨가 은행에서 아파트 담보로 1억을 대출받았습니다.
→ 하지만 1년간 원리금을 갚지 않아 연체
→ 은행은 김 씨의 아파트에 설정된 근저당권을 근거로 임의경매 신청
✅ 담보 설정이 되어 있었기 때문에 임의경매!
✅ 강제경매 vs 임의경매 한눈에 비교
구분 | 강제경매 | 임의경매 |
신청자 | 일반 채권자 | 담보권자 (주로 금융기관) |
담보 여부 | ❌ 없음 | ✅ 있음 (근저당, 저당 등) |
소송 필요 여부 | ✅ 필요 (판결 필요) | ❌ 불필요 (바로 진행 가능) |
대상 부동산 | 채무자 명의 모든 부동산 | 담보 설정된 특정 부동산 |
소요 기간 | 상대적으로 김 | 빠른 편 |
대표 예 | 사채업자, 개인 간 채권 분쟁 | 은행 대출, 전세보증금 담보 등 |
📝 마무리 정리
강제경매 | 임의경매 |
담보가 없는 채권자 | 담보가 있는 채권자 (은행 등) |
반드시 소송 → 판결 필요 | 소송 없이 바로 경매 가능 |
대상은 채무자의 모든 부동산 가능 | 담보 설정된 물건만 가능 |
일반 개인 채권자에게 자주 발생 | 금융기관이 주로 활용 |
📚 함께 읽으면 좋은 글
2025.04.18 - [부업 & 추가 수입 만들기/부동산] - 부동산 경매 시작 전 반드시 알아야 할 핵심 용어 정리
2025.04.18 - [부업 & 추가 수입 만들기/부동산] - 현장 안 가고도 가능한 부동산 임장
2025.04.21 - [부업 & 추가 수입 만들기/부동산] - 부동산 임장 전·중·후 - 꼭 확인해야 할 정보
'부업 & 추가 수입 만들기 > 부동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부동산에서 말하는 '물권'이란? (0) | 2025.04.26 |
---|---|
전세를 활용한 실투자금 0원 경매 전략 (0) | 2025.04.26 |
오피스텔로 월세 흐름 만들기 (0) | 2025.04.25 |
부동산 임장 전·중·후 - 꼭 확인해야 할 정보 (0) | 2025.04.23 |
경락대출 제대로 받는 실전 가이드 (0) | 2025.04.2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