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부업 & 추가 수입 만들기/부동산

전세권 vs 임대차권, 뭐가 다를까?

by fire 마스터 2025. 4. 28.

🏠 전세권 vs 임대차권, 뭐가 다를까?

둘 다 ‘전세’지만 법적으로는 완전 다릅니다!


✅ 전세권이란?

부동산을 등기하고 독립된 권리로 보장받는 전세
→ 내가 집주인에게 보증금을 맡기고 집을 쓰는 물권적 권리

📌 특징

  • 📜 등기부등본에 등기됨
  • 💪 물권이기 때문에 제3자에게도 권리 주장 가능
  • 🧷 보증금을 못 돌려받으면 직접 집을 팔아서 받을 수 있음 (경매 가능)

🏠 전세권 예시

김 씨가 아파트에 전세로 입주하면서
전세권 설정 등기를 하고
→ 1억 보증금을 맡김
→ 계약 만료 후 집주인이 보증금을 안 줌
→ 김 씨는 집을 경매로 넘겨 보증금을 돌려받음

✅ 전세권자는 경매 청구도 가능하고, 점유하지 않아도 보호


✅ 임대차권이란?

우리가 흔히 말하는 ‘전세’나 ‘월세 계약’
등기 없이 계약만으로 성립되는 채권적 권리

📌 특징

  • 📜 등기 없이 계약서 + 전입신고 + 확정일자로 보호
  • 🤝 채권이기 때문에 점유 + 전입 + 확정일자 요건 충족 시 대항력 발생
  • 💥 보증금 반환은 집주인의 재산 상태에 따라 위험할 수도 있음

🏡 임대차권 예시

이 씨는 아파트에 전세로 들어가며
→ 계약서 작성 + 전입신고 + 확정일자 받음
→ 하지만 등기는 하지 않음
→ 계약 종료 후 보증금 못 돌려받음
→ 경매 들어간 후에 후순위라 보증금 전액 못 받음

등기가 없으므로 전세권자보다 후순위, 상황에 따라 보증금 손실 가능


✅ 전세권 vs 임대차권 비교표

항목 전세권 임대차권
법적 성격 물권 채권
등기 여부 ✅ 등기 필요 ❌ 등기 없이 가능
대항력 등기만으로 가능 전입신고 + 확정일자 + 점유 필요
우선순위 높은 편 (등기일 기준) 낮을 수 있음 (확정일자 기준)
경매 청구 가능 (직접 집 팔 수 있음) 불가 (배당 순위에 따라 보증금 회수)
실무 적용 투자자, 권리보호 목적 일반 실거주자, 세입자

✅ 요약 정리

상황 추천 권리
보증금이 크고 법적으로 확실히 보호받고 싶다면? 전세권 설정!
일반적인 전세/월세 입주 상황이라면? 임대차계약 + 전입신고 + 확정일자

📚 함께 읽으면 좋은 글

2025.04.18 - [부업 & 추가 수입 만들기/부동산] - 부동산 경매 시작 전 반드시 알아야 할 핵심 용어 정리

2025.04.23 - [부업 & 추가 수입 만들기/부동산] - 전세를 활용한 실투자금 0원 경매 전략

2025.04.18 - [부업 & 추가 수입 만들기/부동산] - 월급 없는 전업주부도 경매 가능할까?